- 저자
- 김영하
- 출판
- 복복서가
- 출판일
- 2025.04.06
김영하 작가가 말하는, 단단하면서도 따뜻한 인생의 태도
삶의 의미를 되짚는 에세이
삶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책을 찾고 있다면, 김영하 작가의 『단 한 번의 삶』은 결코 놓쳐선 안 될 책이다. 이 책은 『여행의 이유』, 『살인자의 기억법』 등으로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작가 김영하가 인생의 본질, 인간관계, 부모와의 갈등, 그리고 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솔직하게 풀어낸 산문집이다.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로 하여금 삶에 대한 시선을 다시 정립하게 한다.
삶에 대한 통찰, 그 어떤 말보다 깊었다
김영하 작가는 생일을 “고난의 삶을 살아온 인류가 고안해 낸 실존적 부조리를 잠시 잊는 의식”이라고 표현한다. 단순한 축하가 아닌, 고통을 함께 견뎌내는 사람들 간의 ‘환대’로서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 대목은 ‘생일’이라는 익숙한 이벤트가 단순한 기쁨을 넘어, 존재 그 자체에 대한 위로임을 일깨워준다.
“원치 않았지만 오게 된 곳, 막막하고 두려운 곳에 도착한 이들에게 보내는 환대야말로 값진 것이다.” (p.31)
생일 이벤트를 통해 ‘공감’과 ‘배려’, 그리고 ‘관계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작가는 말한다. 어떤 환대는 무뚝뚝하고, 어떤 적대는 상냥하다고. 시간이 지나야 그 본질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부모라는 존재, 그 애증의 거리
가장 가슴에 남은 문장은 아버지에 관한 단락이었다.
“살아생전 아버지가 바란 것과 내가 바란 것은 언제나 달랐고, 우리는 끝내 화해하지 못했다.” (p.50)
이 구절은 많은 이들에게 부모와의 갈등, 그리고 끝내 이해받지 못했다는 감정을 상기시킬 것이다. 김영하는 과거 자신이 부모로부터 기대했던 환대와, 부모가 표현했던 사랑 방식의 간극을 성찰하며, “로봇 3원칙”을 인용하여 부모-자녀 관계의 복잡성을 절묘하게 설명한다. ‘로봇’ 대신 ‘아이’를 ‘인간’ 대신 ‘부모’를 넣어 읽어보라는 것이다.
'나'에 대한 깊은 탐색: 타인을 통해 비로소 알게 되는 나
삶을 살아가며 우리는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나라고 하는 것은 수많은 타인의 마음에 비친 감각들의 총합이었다.” (p.102)
이 말은 자기 인식(self-awareness)에 대해 깊이 사유하게 하며 철학적인 생각을 자극한다. ‘천 개의 강에 비친 천 개의 달’처럼, 우리는 타인을 통해 비로소 나 자신을 인식하게 된다는 기술은 현대 사회에서 자기애와 자의식에 고민하는 이들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은 선불제가 아니라 후불제였다
책의 후반부에서 작가는 자신의 인생이 "선불제"인 줄 알았지만, 결국은 "후불제"였음을 고백한다.
“어릴 적 나는 인생을 선불제로 생각했다... 그러나 내 인생은 후불제인 것 같다.” (p.156)
청소년기, 청년기에는 끊임없는 노력과 고통이 보상받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살아가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믿음이 허상이었음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이 구절은 특히 중년 이후의 삶을 되돌아보는 독자들에게 큰 공감을 준다. 아니, 어쩌면 인생은 어느 시기건 다 고통으로 가득하다는 이야기 같기도 하다.
마무리하며
『단 한 번의 삶』에서 김영하 특유의 치밀한 사유와 정제된 문장, 그리고 자기 고백적인 진정성을 읽을 수 있었다. 삶이 때로 무겁고, 인간관계가 복잡하게 느껴질 때, 이 책이 잔잔하지만 단단한 위로가 되어줄 것 같다.
'Reviews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 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독서 리뷰 (2) | 2025.04.25 |
---|---|
기억에 남고, 사라지는 브랜드의 차이 《차별화의 법칙》 리뷰 (5) | 2025.04.24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독서 리뷰 (2) | 2025.04.15 |
건축은 행복을 설계할 수 있을까? – 『행복의 건축』 독서 리뷰 (1) | 2025.04.13 |
과학을 맛보다 – 『부엌에서 알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의 과학』 리뷰 (0) | 2025.04.05 |